-
<기획> 저물어 가는 제국의 정치 3
2016. 04. 22
저물어 가는 제국의 정치-혼돈과 분열의 미 대선 <기획을 시작하며>1. 전망의 부재 -아무도 답하지 않는 미국이 직면한 문제들/피터 밴 뷰렌 작가이자 정치평론가2. 백악관의 문을 두드리는 사회주의자 샌더스/바스카 순카라 언론인 (<자...
-
저물어 가는 제국의 정치 2
2016. 04. 21
저물어 가는 제국의 정치-혼돈과 분열의 미 대선 <기획을 시작하며>1. 전망의 부재 -아무도 답하지 않는 미국이 직면한 문제들/피터 밴 뷰렌 작가이자 정치평론가2. 백악관의 문을 두드리는 사회주의자 샌더스/바스카 순카라 언...
-
저물어 가는 제국의 정치 1
| 2016. 04. 20
저물어 가는 제국의 정치-혼돈과 분열의 미 대선 <기획을 시작하며>1. 전망의 부재 -아무도 답하지 않는 미국이 직면한 문제들/피터 밴 뷰렌 작가이자 정치평론가2. 백악관의 문을 두드리는 사회주의자 샌더스/바스카 순카라 언론인 (<자...
-
저물어 가는 제국의 정치 발문
| 2016. 04. 19
저물어 가는 제국의 정치-혼돈과 분열의 미 대선 기획을 시작하며1. 전망의 부재 -아무도 답하지 않는 미국이 직면한 문제들/피터 밴 뷰렌 작가이자 정치평론가2. 백악관의 문을 두드리는 사회주의자 샌더스/바스카 순카라 언론인 (...
-
저물어 가는 제국의 군대 2
2016. 03. 16
2. 세계 역사상 최고 군대의 잇따른 실패 이제 미국은 더 이상 유일 초강대국의 지위에 있지 않다. 그럼에도 여전히 미국의 힘은 막강하다. 달러가 그 금융적 지배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면 또 다른 힘의 원천은 엄청난 군사력...
-
저물어 가는 제국의 군대 1.
2016. 03. 16
1. 버릇없는 응석받이가 된 펜타곤 이제 미국은 더 이상 유일 초강대국의 지위에 있지 않다. 그럼에도 여전히 미국의 힘은 막강하다. 달러가 그 금융적 지배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면 또 다른 힘의 원천은 엄청난 군사력이다. 그러나 ...
-
미국의 아시아 중시전략과 오스트레일리아
2015. 11. 16
미국 대통령이 태평양에 대한 군사력 강화, 이른바 아시아로의 ‘중시’ 정책을 발표한 것은 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에서였다. 이후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동맹관계를 더욱 강화했다. 사실상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
-
미일 동맹 어디로 가는 것인가?
2015. 09. 25
미국은 왜 일본을 호의적 파트너로 생각하는 걸까? 미국의 세계전략 구상에 초점을 맞춰 풀이한다면 전혀 엉뚱한 발상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냉전 시기부터 미국은 대륙의 공산주의 세력에 맞서 해양 제패를 전략 목표로 제시해왔다. 유럽에...
-
인터뷰 <크레바스>(가상다큐 동아시아 2017) 저자 강희찬
| 2015. 09. 21
2017년 한반도 가상다큐 <크레바스>의 저자 강희찬 국가경영전략연구원 책임연구원 아베 총리가 미국과 상의도 없이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이)를 방문했다. 중의원, 참의원에서 개헌 찬반 투표는 5표, 35표 차이로 찬성이...
-
폐기 직전의 일본 평화헌법
2015. 09. 18
지난 5월 아베 신조 총리 관저 앞에서의 평화헌법 수호 시위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되고 70년이 지난 지금까지, 일본인 그 누구도 징집령이 현실화될 지도 모른다는 상상을 한 적이 없었다. 전쟁을 경험한 노인층부터 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