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북핵'에 대해 42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트럼프의 체스판에 갇힌 한반도 평화트럼프의 체스판에 갇힌 한반도 평화

    강태호 | 2020. 01. 11

    강태호 | 전 한겨레 평화연구소장, 박순성 | 동국대교수  승인 2018.11.29 14:37     **이 인터뷰는 2018년 11월 29일 르몽드 디플로 사무실에서 진행됐으며, <르몽드 디플로마티크>2018년 12월호 게재됐습니다.  ...

  • 북핵의 국제정치와 또 다시 찾아온 전쟁위기북핵의 국제정치와 또 다시 찾아온 전쟁위기

    강태호 | 2016. 01. 13

       대북 강경책을 취했던 부시 행정부의 백악관에서 아시아담당국장을 했던 빅터 차 조지타운대 교수에게 4차 핵실험 이전까지 북한의 모습은 오히려 이례적인 것이었다. 한미일 군사협력을 강조하고 사드(고고도 미사일 요격 시스템) 배치...

  • 반기문, 판문점체제 이대로 둘 것인가?반기문, 판문점체제 이대로 둘 것인가?

    | 2015. 06. 17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이 강화되고 있다. 중국의 남중국해 군사력 확대와 북한의 핵개발이 지속됨에 따라 지난 수년간 이어진 한-미-일 삼각동맹 구축과정 역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렇게 동북아 갈등이 심화되는 긴박한 시기에 이루어진...

  • 사이버 위기 직면한 한반도 정세(상)사이버 위기 직면한 한반도 정세(상)

    강태호 | 2014. 12. 24

      한해가 저물어가는 시점인 12월 19일 소니픽쳐스 해킹에 대한 북한의 책임과 그에 상응한 오바마 행정부의 비례적 보복 조처 발표로 2015년 한반도 정세는 시작부터 격랑이 예고되고 있다.  두번에 걸쳐 미 연방수사국의 이번 해...

  • 시리즈 3 탐색적 대화와 제재 협상의 ‘병진노선’시리즈 3 탐색적 대화와 제재 협상의 ‘병진노선’

    강태호 | 2014. 12. 17

      기존의 대북 정책이 모두 실패했다고 밝혔음에도 제네바 합의 미국쪽 협상대표였던 로버트 갈루치 전 미국 차관보의 입장은 분명하다. “외교적 협상은 여전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물론 북한이 핵을 포기할 의사가 없을 수 있다는 ...

  • 시리즈 2 협상 무용론과 군비증강의 안보 딜레마를 넘어시리즈 2 협상 무용론과 군비증강의 안보 딜레마를 넘어

    강태호 | 2014. 12. 16

    북핵 첫 6자회담이 열린 게 2003년 8월이었으니 11년 넘었다. 2008년 부터 지금까지 그 절반 가까운 6년간 회담이 열리지 않고 있으니 이제 ‘6자회담은 죽었는가?’라는 말이 나올 법하다.  2014년 12월6일 성 김(왼쪽)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

  • 시리즈 1 미증유의 초강경 대응전인가 예비적 탐색적 대화인가시리즈 1 미증유의 초강경 대응전인가 예비적 탐색적 대화인가

    강태호 | 2014. 12. 15

    시리즈를 시작하며 1차 북핵 위기를 종식시킨 북미 제네바 합의가 체결된 것이 지난 94년 10월이었으니 20년이 지났다. 지난 20년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려던 모든 대북 핵정책은 실패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게다가 2008년 12월을 마지막...

  • 북핵 20년과 3차 핵실험: 합의와 퇴행(중)북핵 20년과 3차 핵실험: 합의와 퇴행(중)

    | 2014. 10. 06

    르몽드 디플로 기획북핵 20년2014.07.31 11:10 깐깐 Edit 르몽드  54호  2013.03.10 본지   특집 6422자 29면 임수호북한 핵문제가 대두된 이래 북한과 국제사회 간에는 모두 세 번의 비핵화...

  • 북핵20년 미완의 합의와 최후의 담판-마지막북핵20년 미완의 합의와 최후의 담판-마지막

    강태호 | 2014. 10. 06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기획 북핵 20년 르몽드  54호  2013.03.10 본지   특집 5819자 31면 강태호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편집위원 2012년 8월 18일 괌 미군기지에서 군용기가 평양을 향해 ...

  • 북핵, 이제 '해결'은 불가능... '관리'해야북핵, 이제 '해결'은 불가능... '관리'해야

    김수빈 | 2013. 03. 28

    아마도 안드레이 란코프 교수는 한반도에서 가장 냉정하게 북한을 바라보고 있는 학자일 것이다. 레닌그라드 국립대에서 공부하고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유학한 바 있는 란코프 교수는 스스로를 “우파 학자이자 햇볕론자(중앙일보)”로 규정한다. 대한민국...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