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2022 미중러 3각관계와 한반도의 지정학-상

(상) 미중러 ‘세력 불균형’과 중러의 ‘반 닉슨 전략’

강태호 | 2022.03.11

70년대 초반 이래 지난 50여년 동안 이른바 미국의 중국에 대한 ‘전략적 포용’은 중러의 갈등 구도와 균열 속에서 미중러 3자 관계를 미국이 주도할 수 있도록 하는 패권적 우위를 보장해주는 정책이자 수단이었다, 그러나 오바마 행정부 들어 이러한 중국 포용의 대중 정책은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2012년 2기 행정부 때 내놓은 ‘아시아 중시전략(Pivot to Asia)’ 은 전략적 경쟁자로서의 중국 견제를 중심에 둔 정책이었다.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도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동맹이든 중국이든 무차별적으로 공격했지만, 무역보복의 경제전쟁으로 중국을 견제했다. 그런 점에서 미국의 외교전문지 <포린 폴리시>가 적절히 지적했듯이 미중관계는 미중의 ‘대결별(Great DeCoupling)’의 시대로 들어섰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reat Decoupling” , May 14. 2020 그러나 이 미중의 대결별은 2014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병합 이래 중러가 전략적 협력의 공간을 더욱 확대하고 굳건히하도록 촉진시켰다. 바이든의 미국은 점점 더 미중러 3자의 힘의 구도에서 ‘세력 균형’의 주도적 지위가 아닌 ‘세력 불균형’의 불리한 수세적 지위로 내몰리고 있다.

  • (하) 우크라이나 위기와 중러의 전략 협력- 한국외교의 방향

    강태호 | 2022. 03. 11

    미중러간 양자 정상회담과 중러의 공동전선(반닉슨 전략) 2021년이 저무는 12월 미러(7일) 중러(15일) 화상 정상회담 그리고 그에 앞서 11월 16일엔 바이든 행정부 들어 첫 미중 화상 정상회담이 열렸다. 이 3자간의 양자 정상회담에서는 푸틴이 나토의 동진정책에 대응해 우크라...

  • 중러의 전략적 협력을 보는 시각-미중러 3자관계와 새로운 국제질서

    강태호 | 2020. 07. 30

    1. 미국의 일방적 패권(개입 보복 제재 등)에 대한 연대로서의 전략적 협력’ ▣ 미중관계의 그레이트 디커플링과 중러 협력 o코로나 19로 심각한 지지율 하락을 보이고 있는 트럼프의 중국 때리기 대선 전략으로 인해 미국과 중국의 ‘결별’은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 외교전문지 <...

  • <기획 >2017 북중관계 전망-3. 양안기업의 위화도 합작투자

    강태호 선임기자 | 2017. 02. 21

    <기획> 2017년 북중관계 전망-3. 합작 발문:트럼프발 파고에 맞서 북중결속 강화 예고 1. 북한 껴안기의 지정학:7차 당대회 이후 2. 유엔의 대북제재와 북중 경협의 상호진화 3. 양안기업의 위화도 합작투자가 의미하는 것 중국·대만기업 북한 위화도에 공단 조성 중국과 대만 ...

  • <기획> 2017 북중관계 전망 2. 대북 제재와 북중경협의 상호 진화

    강태호 선임기자 | 2017. 02. 27

    <기획> 2017년 북중관계 전망 발문:트럼프발 파고에 맞서 북중결속 강화 예고 1. 북한 껴안기의 지정학-7차 당대회 이후 2. 유엔제재와 북중경협의 상호진화 3. 위화도 합작투자가 보여주는 것 5번의 북한 핵 실험과 5번의 안보리 제재 2016년 9월 9일 북한의 5차 핵 실험...

  • <기획> 2017 북중관계 전망-1.북한 껴안기의 지정학

    강태호 선임기자 | 2017. 02. 13

    <기획> 2017년 북중관계 전망 발문:트럼프발 파고에 맞서 북중결속 강화 예고 1. 북한 껴안기의 지정학-7차 당대회 이후 2. 유엔제재와 북중경협의 상호진화 3. 위화도 합작투자가 보여주는 것 긴잠에서 깨어나는 나진 선봉-훈춘의 북중 협력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중국 지린성이...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